공지사항
| 2025년 3분기 콘텐츠 모니터링 현황(신규 콘텐츠 추가) | |||
| 등록일 | 2025-09-29 | 수정일 | |
| 글쓴이 | 관리자 | 조회수 | 416 |
2025년 3분기(7~9월) 해외 법령 및 기준규격 제·개정 모니터링 등에 따라 다음 콘텐츠가 신규 추가되었습니다(원문 53건, 국문 31건). ● 중국 - GB 19299-2015 젤리(제1호 개정표 포함)[최종개정 2025-03-16]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- GB 19301-2010 원유(제1호 개정표 포함)[최종개정 2025-03-16]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- GB 25190-2010 멸균유(제1호 개정표 포함)[최종개정 2025-03-16]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- GB 5009.83-2016 식품 내 카로틴의 측정[최종개정 2025-03-16]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- GB 12456-2021 식품 내 총산의 측정[최종개정 2025-03-16]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- GB 5009.111-2016 식품 내 데옥시니발레놀 및 아세틸화 유도체의 측정[최종개정 2025-03-16]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- GB 19302-2025 발효유[최종개정 2025-03-16]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- GB 14930.2-2025 소독제[최종개정 2025-03-16] (원문) [바로가기] - GB 4789.3-2025 식품 미생물학 검사_대장균군 계수[최종개정 2025-03-16] (원문) [바로가기] - GB 4789.30-2025 식품 미생물학 검사_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니스 검사[최종개정 2025-03-16] (원문) [바로가기] - GB 4789.38-2025 식품 미생물학 검사_대장균 계수[최종개정 2025-03-16] (원문) [바로가기] - GB 4789.42-2025 식품 미생물학 검사_노로바이러스 검사[최종개정 2025-03-16] (원문) [바로가기] - GB 5009.5-2025 식품 내 단백질의 측정[최종개정 2025-03-16] (원문) [바로가기] - GB 5009.31-2025 식품 내 파라하이드록시벤조산에스터류의 측정[최종개정 2025-03-16] (원문) [바로가기] - GB 5009.120-2025 식품 내 프로피온산 및 그 염의 측정[최종개정 2025-03-16] (원문) [바로가기] - GB 5009.137-2025 식품 내 안티몬의 측정[최종개정 2025-03-16] (원문) [바로가기] - GB 5009.229-2025 식품 내 산가의 측정[최종개정 2025-03-16] (원문) [바로가기] - GB 5009.268-2025 식품 내 다원소의 측정[최종개정 2025-03-16] (원문) [바로가기] ● 미국 - 영양 및 보충제 표시 라벨 개정 (원문) [바로가기] - [FSIS-GD-2025-0002] 건조 난제품용 HACCP 모델(가열 처리·상온 보관용) (원문) [바로가기] - [FSIS-GD-2025-0003] 저온살균 액상란 제품용 HACCP 모델(완전 조리·비상온 보관용) (원문) [바로가기] - [FSIS-GD-2025-0004] 즉석섭취 발효·염장·건조 제품용 HACCP 모델(비가열 처리·상온 보관용) (원문) [바로가기] ● 유럽연합 - 가이던스문서 - 식품 위생에 관한 규정(EC) No 852/2004 특정 조항의 시행 (원문) [바로가기] - (EU) 2025/40 - 포장 및 포장 폐기물 (PPWR) (원문) [바로가기] - (EU) 2025/351 - 플라스틱 식품접촉물질 규정 등 개정 (원문) [바로가기] - 원재료 함량 표시(QUID) 원칙 적용에 관한 유럽집행위원회 공고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● 일본 - 식품위생법 시행규칙(최종개정 2025년 6월 1일) (국문) [바로가기] - 식품표시법(최종개정 2025년 6월1일) (국문) [바로가기] - 식품표시기준에 대해서(본체)(최종개정 2025년 8월 25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- 식품표시기준에 대해서(최종개정 2025년 8월 25일) (원문) [바로가기] - 식품표시기준 Q&A - 제1장 총칙(최종개정 2025년 3월 28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- 식품표시기준 Q&A - 제2장 가공식품(최종개정 2025년 3월 28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- 제10판 식품첨가물공정서 2024 F.사용기준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- 건강증진법에 규정하는 특별용도표시의 허가 등에 관한 내각부령 (국문) [바로가기] - 식품표시기준에 대해서 - 별첨 첨가물 2-2. 천연향료 기원물질 리스트 (국문) [바로가기] - 식품표시기준에 대해서-별첨 첨가물 2-3. 일반적으로 식품으로 식음에 제공되는 물질이며 첨가물로 사용되는 품목 리스트 (국문) [바로가기] - 식품표시기준에 대해서 - 별첨 첨가물 2-1. 기존첨가물 명부 수록 품목 리스트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- 식품위생법 시행규칙-별표 제1 지정첨가물 리스트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● 베트남 - 베트남 사용가능 및 사용금지 농약 목록 시행규칙 (No.03/2025/TT-BNNMT) [개정] (원문) [바로가기] - 광고법 (No.75/2025/QH15) [개정] (원문) [바로가기] - 광고법 (No.16/2012/QH13) (원문) [바로가기] - 건강보호식품의 오염물질 제한에 관한 국가기술규정(No.12/2024/TT-BYT, QCVN 20-1:2024/BYT) (국문) [바로가기] ● 태국 - 식품의약품청 고시_특정 가공식품의 라벨 표시에 대한 공중보건부 고시(제456호) 설명 (원문) [바로가기] - 보건부 고시(제460호)_잔류농약 함유 식품 (원문) [바로가기] - 식품의약품청 고시_용기포장식품의 라벨 표시에 대한 공중보건부 고시(제450호)(정정) (원문) [바로가기] - 식품의약품청 고시_플라스틱 포장용기의 품질기준에 대한 공중보건부 고시(제435호)(정정) (원문) [바로가기] - 보건부 고시(제461호)_식품 제조에 사용되는 추출용매 (원문) [바로가기]
● 대만 - 「건강식품관리법」상 보건효능 항목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- 식품 및 관련 제품 수입검사방법 (최종개정: 2025년 8월 21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● 호주/뉴질랜드 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기준 1.1.2 정의(최종개정: 2025년 8월 13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기준 1.2.1 라벨 부착 및 기타 정보 제공 요건(최종개정: 2025년 8월 13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기준 1.2.7 영양, 건강 및 기타 강조표시(최종개정: 2025년 8월 13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기준 1.5.4 세포 배양 식품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기준 2.7.1 알코올 음료 및 알코올 함유 식품의 표시(최종개정: 2025년 8월 13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기준 3.2.2 식품안전 기준 및 일반요건(최종개정 2025년 8월 13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기준 3.4.1 세포 배양 식품 가공을 위한 식품 안전 요건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스케줄 25A 허용되는 세포 배양 식품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● 캐나다 - 식품의약품규정(최종개정: 2025년 7월 1일) (원문) [바로가기] ● 제외국 - 브라질 RDC N° 727/2022 - 사전포장 식품의 라벨 표기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 |
|||
| 이전글 | 2025년 2분기 콘텐츠 모니터링 현황(신규 콘텐츠 추가) 2025-06-30 |
|---|---|
| 다음글 | |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