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지사항

2024년 4분기 콘텐츠 모니터링 현황(신규 콘텐츠 추가)
등록일 2024-12-20 수정일
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232
2024년 4분기(10~12월) 해외 법령 및 기준규격 제·개정 모니터링 등에 따라 다음 콘텐츠가 신규 추가되었습니다.

● 중국
- 수출입상품검사법 실시 조례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
- 특수의학용도 조제식품 등록 관리 방법 (국문) [바로가기]
- GB 5009.15-2023 식품 내 카드뮴의 측정 (국문) [바로가기]
- GB 4789.28-2024 식품 미생물학 검사_배지 및 시약 품질 요구사항 (원문) [바로가기]

● 미국
- 자발적인 나트륨 저감화 목표[2024.08.15. 개정]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
- 7307.001 국내 및 수입 식품 중 곰팡이독소[2024.09.26. 개정] (원문) [바로가기]
- 식품 중 잔류 동물용의약품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연구: 유전독성 검사 (원문) [바로가기]

● 일본
- 일반적으로 식품으로서 식음에 제공되며 첨가물로 사용되는 품목 리스트 (원문) [바로가기]
- 천연향료 기원물질 리스트 (원문) [바로가기]

● 유럽연합
- 동물성 식품 위생에 관한 규정(EC) No 853/2004 특정 조항의 시행 관련 가이던스 문서 (원문) [바로가기]
- (EU) 2017/2469 - 신소재식품 승인 신청을 위한 행정 및 과학적 요건 설정 (원문) [바로가기]
- 신소재식품 규정에 따른 신소재식품 승인 신청에 관한 과학적 요건 지침 (원문) [바로가기]
- 신소재식품 규정에 따른 제3국의 전통식품 통보 및 승인 신청에 관한 과학적 요건 지침 (원문) [바로가기]
- 신규 미량영양소 공급원의 안전성과 상대 생체이용률 평가를 위한 과학적 원칙 및 데이터 요건에 관한 지침 (원문) [바로가기]
- (EU) 2018/456 - 신소재식품 지위 결정을 위한 협의 과정의 절차 단계 (원문) [바로가기]
- (EU) 2019/1871 - 동물성 식품 중 존재가 허용되지 않는 약리활성물질에 대한 조치참고값 (원문) [바로가기]
- 권고(EU) 2022/553 - 식품 중 알터나리아 독소 존재 모니터링 (원문) [바로가기]
- 신소재식품 규정에 따른 신소재식품 승인 신청 준비를 위한 행정 지침 (원문) [바로가기]
- 잔류농약의 가공계수, 가공 및 복합 식품·사료 관련 규정(EC) No 396/2005의 제20조에 관한 정보 (원문) [바로가기]
- (EU) 2015/1375 - 육류 중 선모충 공식통제 관련 특정 규칙 설정 (원문) [바로가기]
- (EU) 2021/405 - 규정(EU) 2017/625에 따라 특정 동물 및 인간 섭취용 물품의 EU 반입이 허가된 제3국 및 그 지역 목록 설정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

● 태국
- 식품의약품청 고시_잔류농약 함유 식품(4판)에 대한 공중보건부 고시(제449호) 설명 (원문) [바로가기]
- 보건부고시(제454호)_천연 광천수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
- 식품의약품청 고시_천연 광천수에 대한 공중보건부 고시(제454호) 설명 (원문) [바로가기]
- 보건부고시(제453호)_식품 라벨의 영양기호 표시(2판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
- 보건부고시(제451호)_식용유지 (국문) [바로가기]
- 보건부고시(제452호)_어유 (국문) [바로가기]
- 보건부고시(제448호)_식이보충제(5판) (국문) [바로가기]
- 보건부고시(제447호)_라벨상 식품의 건강강조표시 (국문) [바로가기]
 
● 대만
- 식품용 세척제 위생표준 (최종개정: 2024년 9월 11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
- 농약 잔류 허용량 표준 (최종개정: 2024년 11월 18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
- 동물제품 중 농약 잔류 허용량 표준 (최종개정: 2024년 11월 18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
- 식품 중 오염물질 및 독소 위생표준 (최종개정: 2024년 11월 28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

● 호주·뉴질랜드
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법 1991(최종개정: 2024년 10월 14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
- 호주 수입식품관리법 1992(최종개정: 2024년 10월 14일) (원문) [바로가기]
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기준 1.1.1 구성 및 일반 조항(최종개정: 2024년 7월 22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
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기준 1.2.2 정보 요건 - 식품 식별정보(최종개정: 2024년 7월 22일) (원문) [바로가기]
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기준 1.3.1 식품 첨가물(최종개정: 2024년 9월 13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
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기준 1.5.1 신소재 식품(최종개정: 2024년 9월 13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
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기준 2.9.1 영유아용 조제식(최종개정: 2024년 9월 13일) (원문) [바로가기]
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기준 2.9.2 영유아용 식품(최종개정: 2024년 9월 13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
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기준 2.9.3 식사대용 조제식과 식이보충용 조제식(최종개정: 2024년 9월 1- 3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
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기준 2.9.5 특수의료용도 식품(최종개정: 2024년 9월 13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
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스케줄 3 특성 및 순도(최종개정: 2024년 8월 15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
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스케줄 8 (원료 표시 관련) 식품 첨가물 명칭 및 코드 번호(최종개정: 2024년 9월 13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
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스케줄 15 식품 첨가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(최종개정: 2024년 9월 13일) (원문) [바로가기]
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스케줄 19 오염물질 및 자연독소의 최대 기준(최종개정: 2024년 9월 13일) (원문+국문) [바로가기]
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스케줄 22 식품 및 식품의 종류(최종개정: 2024년 7월 22일) (원문) [바로가기]
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스케줄 26 유전자 기술로 생산된 식품(최종개정: 2024년 10월 17일) (원문) [바로가기]
-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코드-스케줄 29 특수용도 식품(최종개정: 2024년 9월 13일) (원문) [바로가기]

● 베트남
- 기능성식품 관리 규정(No.11/VBHN-BYT) (국문) [바로가기]
- 식품첨가물 관리 및 사용에 관한 규정 시행규칙(No.8/VBHN-BYT) (국문) [바로가기]

● 프랑스
- Non-GMO로 인증된 부문의 식품 라벨링에 관한 2012년 1월 30일자 명령 제2012-128호 (최종개정: 2012년 1월 31일) (원문) [바로가기]

목록  
이전글, 다음글에 대한 목록입니다.
이전글 2024년 3분기 콘텐츠 모니터링 현황(신규 콘텐츠 추가) 2024-09-30
다음글